튜터's 다이어리 [출국 전]LJMU 학생들과의 첫 그룹 세션 – 제네릭 vs 브랜드 약 토론

작성일 2025.03.20

저는 오늘 다섯 명의!

LJMU 약대 파운데이션 입학 예정 학생들과

첫 그룹 세션을 함께 했습니다.

 

학생들은

브랜드 vs 제네릭 이라는 주제로

두 팀으로 나뉘어 토론 을 진행했습니다.

 

팀명은 각각 

 

브랜드 약명인 타이레놀과 -

그것의 제네릭 약명인 타세놀 이라고 정했어요!

 

타이레놀팀.JPG

(타이레놀 팀의 발표 장면)

 

타세놀팀.JPG

(타세놀 팀의 발표 장면)

 

세션 구성

학생들은 이미 OT에서 그룹세션을 위한,

자료들의 목록과 만드는 방법을 제공받았는데요!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PPT & 북렛 – 팀별 제작

포스터 – 개별 제작

 

학생들의 포스터들은 굉장히 수준히 높았어요.

 

원지포스터.JPG

(깜찍한 포즈를 취하는 L모양)

 

유빈포스터.JPG

(멀리서 오늘을 위해 온 W양)

 

채윤포스터.JPG

(발표할 것을 거의 외워온 P양! 대견해!)

 

학생들의 개별 포스터 발표 후,

저는 충분한 피드백 을 제공했어요!

 

특히, APA 리퍼런스 스타일 을 적용하는 방식과

PPT, 북렛, 포스터 간에 -

정보의 깊이 차이를 조절하는 방법 을 설명하며

개별 피드백을 진행했습니다.

 


 

자료별 정보 구성 차별화 전략

 

<1> PPT (= 프레젠테이션 자료)

핵심 내용 중심으로 간결하고 시각적으로 구성

글보다는 도표, 그래프, 이미지 활용

발표자가 설명을 덧붙일 수 있도록 여백 확보

과도한 텍스트 사용 금지

(한 슬라이드당 5~7개 핵심 포인트가 적절)

 

 <2> 북렛 (= 서면 보고서)

가장 상세한 정보 포함 (연구 배경, 근거, 세부 설명)

각주(Footnotes) 및 부록(Appendix) 활용

– 세부 데이터 및 연구 출처 제공

APA 포맷을 준수한,

참고문헌(Reference List) 필수 기재

PPT나 포스터에서 생략된,

추가 분석, 논의, 관련 연구 인용

 

<3> 포스터 (= 시각적 요약 자료)

한눈에 들어오는 요약본

(핵심 개념 + 그래픽 요소 강조)

텍스트 최소화, 시각 자료 극대화

(아이콘, 그래프, 컬러 코딩 활용)

북렛에서 다룬 세부 분석 대신,

주요 결과 & 인사이트 하이라이트

 


 

추가 피드백 포인트!

 

APA 포맷 & Abbreviation(약어) 사용 체크

각 자료의 목적에 맞는 정보 깊이 조절

논리적인 레이아웃 시각적 구성 피드백

 

 

다음 세션에서는 -

 

제산제(antacid) 사용에 대한 찬반 이 예정!

그리고 또 한 명의 학생이 추가되어,

3:3 팀 토론 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더욱 활발한 토론이 기대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