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터's 다이어리 [출국 후] 약대 파운데이션의 최종 보스, 에세이 프로젝트! 리소스 선정부터 구조 설계까지" #LJMU
안녕하세요, SAUK 여러분!
오늘은 올해 1월 LJMU 약대 파운데이션 과정을
에세이 프로젝트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LJMU의 파운데이션은 StudyGroup에서 운영되며,
(Kaplan의 Extended Project(EP)와 유사하게 -)
긴 호흡으로 진행되는 에세이 프로젝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학생은 다음 주까지!
레퍼런스 목록을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었고,
아직 Essay Question도 선택 전이었어요 :(
1. Essay Question 선택:
(리소스 기반 접근법)
학생은 주어진 5개의 질문들 중,
어떤 것을 선택할지 고민하고 있어,
먼저
Google Scholar를 활용한!
리소스 탐색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Essay Question 선정 TIP!
** 좋은 리소스가 풍부한 키워드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
** Google Scholar에서 각 질문의 키워드를 검색하여,
Cited by 숫자가 높은 논문들을 중심으로 확인할 것.
** 네이처(Nature) 등 저명한 저널에 게재된 논문이 있다면 더욱 유리.
학생과 함께 Google Scholar를 검색하며,
각 논문의 Cited by 숫자가 높을수록 영향력 있는 연구임을 설명했습니다.
2. 논문 발행 연도 vs 인용 수, 무엇이 중요할까?
학생은 아주 좋은 질문을 했습니다.
“논문을 고를 때,
‘발행 연도’와 ‘인용 수’ 중 어떤 것이 더 중요할까?”
답변은!
Q1. 최근 10년 내 발행된 논문이라면?
A1. 인용수가 높은 것이 더 중요
Q2. 10년 이상 된 논문이라면 무조건 차순위?
A2. 최신 버전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것
Q3. 재발행된 논문이라면?
A3. 최신 버전 사용이 더 적절
3. Key References & Essay Structure
다행히, 학생이 관심 있는 질문 중
네이처(Nature)에 게재된 논문이!
무려 두 편이나 있었습니다.
좋은 소스들을 찾았으니,
이제 Key References로 설정해야겠죠!
Following Steps!
✅ Project Overview 작성
✅ Keyword & Key References 정리
✅ Essay Structure 설계
→ 논리적인 흐름 구성
학생과 함께
에세이의 기본 구조를 설계해보았고,
먼저 -
Project Overview, Keyword, Key References
를 채우면!
Essay Structure를 함께 구성하기로
약속했습니다.
학생은 내일까지 정리한 후!
과제를 보내겠다고 약속했으며,
이제 본/격/적/인
에세이 작성을 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네요!
-
"A well-structured essay starts with strong research."